과학기술정보통신부 2

이재명, 새 정부 국가 AI 전략

우리나라가 LLM 개발에서는 늦었지만, AI 활용을 통해 정부와 사회 전반이 AI로 전환되어 그 가치를 제대로 누려야 한다. 1) 정부의 역할 구분과 지원기관의 기능 특화가 필요합니다. o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AI 산업 생태계 조성과 민간 인프라 지원에 집중하고,o 행정안전부는 정부 행정의 혁신(AX)을 중심으로 일하는 방식 자체의 변화에 주력해야 합니다. - 행정안전부를 데이터기반지능행정혁신부로 변경하고, 정부의 인공지능 전환에 집중해야 합니다.o NIA는 이 양 부처를 지원하는 조직으로, 기능을 분리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특히, 행안부 또는 국무총리실 산하의 AI 행정혁신 전담 조직은 세종에 위치하여 현장 밀착형 지원이 이뤄져야 합니다. - 행정, 입법, 사법에 AI를 도입하는 것만으로..

인공지능정책 2025.06.03

AI 강국을 위한 개인정보 활용 방안 세미나

행사 개요행사명: AI시대의 개인정보: 보호 vs. 활용, 해법은?일시: 2025년 4월 2일(수) 오전 10시장소: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주최: 국민의힘 김장겸‧최보윤 의원후원: 국회 AI와 우리의 미래 (국회의원 연구단체)사회: 김병찬 아나운서주요 내용✅ 발제이원석 교수(연세대) – 국가 익명정보 모으기이진 대표(L박스) – AI 경쟁에서 우리 데이터 현실✅ 토론 참여행정안전부보건복지부개인정보보호위원회과학기술정보통신부변호사소비자총연맹행사 목적배경: 국내 개인정보 보호 규제가 AI·빅데이터 산업 성장에 장애 요인으로 작용문제의식:AI 개발에 필수적인 데이터 확보에 시간 소요미국·중국은 개인정보 활용이 비교적 유연해 경쟁 우위목표:개인정보 보호와 활용 간의 균형점 찾기데이터 경제와 AI 산업 활성화를 ..

교육세미나 2025.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