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기반행정 2

가명정보와 익명정보 활용 사례

가명정보 활용 사례기업 측면의료/제약 분야제약회사가 임상시험 데이터를 가명처리하여 신약 개발 연구에 활용보험회사가 고객의 건강정보를 가명처리하여 맞춤형 보험상품 개발금융 분야은행이 고객 금융거래 데이터를 가명처리하여 신용평가모델 개발카드사가 소비패턴을 가명화하여 맞춤형 할인 서비스 개발유통/서비스 분야온라인 쇼핑몰이 구매이력을 가명처리하여 개인화된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통신사가 가명처리된 위치정보를 활용한 인구이동 분석 서비스 개발정부 측면공공보건보건복지부가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를 가명처리하여 질병 예방 정책 수립코로나19 확진자의 동선정보를 가명처리하여 역학조사 및 방역정책 수립교통/도시계획교통카드 이용정보를 가명처리하여 대중교통 노선 최적화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시민 생활패턴 분석맞춤형 복지복지 수요자..

익명정보 구분

고수준 익명정보(high-level anonymous data)와 저수준 익명정보(low-level anonymous data)는 익명정보의 ‘익명성 강도’와 활용 목적에 따라 나뉘는 개념이에요. :1. 개념 정의구분               정의고수준 익명정보개인을 식별할 가능성이 극도로 낮도록 처리된 데이터. GDPR 기준(개별화, 구별가능성, 추론가능성, 연결가능성)을 철저히 배제. 민감한 분석, 산업적 활용, AI 학습용으로 적합.저수준 익명정보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익명화한 데이터. 일부 속성은 원본과 유사하게 유지됨. 통계나 공공보고, 정책수립 등 제한된 목적에 주로 활용.2. 예시 비교항목                   저수준 익명정보                               ..